[Linux] (CentOS 8) 네트워크 설정을 해보자
TCP/IP란?
미국 국방성(Pentagon) 산하에 ARPA(고등연구소)에서 만들어졌습니다. (로버트 칸, 빈트 서프)
원래 만든 목적은 대형 무기 제작 프로젝트를 하기 위해서 연구소, 기업(군수업체), 대학교 등을 네트워 크로 연결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습니다.
ARPA(고등연구소)는 DARPA로 이름이 변경됨 - 오늘날의 인터넷 (1960년대 중반부터 개발을 시작해서 1974년에 현재의 모습이 됨)
* 호스트 네임:
DESKTOP-30FTUBK : NetBios Name (윈도우끼리 서로를 인식하는 이름) 시작표시줄에 있는 검색창에 시스템이라고
검색하고 들어가면 확인가능합니다!
* 도메인 네임 :
DNS서버에서 특정 서버와 매핑된 정보
ex) naver.com daum.net 11st.co.kr
- 정방향 조회 :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IP주소를 알려줌 A (도메인 이름 -->IPv4), AAAA (도메인 이 름 -->IPv6) = A6
- 역방향 조회 : IP주소를 입력하면 도메인 이름을 알려줌 PTR (IPv4/IPv6 ---> 도메인 이름)
* IP주소 - 8bit씩 4개의 octet으로 구성돼있다. 총 32bit이고 십진수로 표현한다. 1992년도 까지는 classful했다.
그러나 subnet마스크가 나온 후 classless가 됐다.
subnet mask : 32bit, 십진수로 표현, 1의 연속이다. 네트워크와 호스트주소를 나눠주는데 사용 1에 해당하는 부분은 네트워크 0은 호스트
공인IP : 전세계에 딱 1개만 있음(유료), 라우팅 가능 ----> 어디있는지 찾을 수 있음 ---> 인터넷 가능
사설IP : 누구나 공짜로 사용, 라우팅 금지됨(공식 표준문서에 지정) ----> 어디있는지 모름 ---> 인터 넷 안됨
ㄴ NAT 기술을 이용하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.
* 전송 방식
- Unicast : 송신자가 수신자1에게 전송 1:1
- Multicast : 송신자가 그룹(Group)에 전송 1:G
- Broadcast : 송신자가 All(전체)에 전송 1:all 너무 남발하면 부담이 커진다.
* Gateway (게이트웨이) :
외부로 나가는 경로입니다. 문이 하나밖에 없으면 그 문에 문제가 생기면 통신이 불가능합니다. 그래서 게이트웨이 이중화를 통해 한 쪽에 문제가 생겨도 정상적으로 통신이 가능하게합니다.
#nmtui 명령어를 이용해 IP를 변경해보자
nmtui를 종료한 뒤
#ifdown ens160
#ifup ens160
두 명령어를 실행해줘야 변경한 IP가 적용됩니다.
GUI가 없는 버전은 밑에 동작을 따라해주시면 됩니다.
*Ping :
ICMP 프로토콜의 Echo Request를 보내고, Echo Reply가 되돌아 오게됩니다.
응답이 없다면? -> 호스트가 다운되었거나, 중간이 막혀있는 상태(방화벽 등)
ping은 가까운 곳부터 먼저 보낸다! -> 어디까지 통신이 되고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-> 번거롭기 때문에 tracert로 한번에 해결가능하
*traceroute :
ping이 가는 경로를 추적해줌 윈도우에 tracert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