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Linux] (CentOS 8) 기본 사용법 익히기 - 2 (사용자 관리)
오늘 제가 실습해볼 내용은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에 관한 내용입니다.
$su root
# cat /etc/passwd
-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[사용자:암호:사용자ID:사용자그룹ID:전체이름:홈디렉터리:기본셸] 의 형태로 된 정보 들을 볼 수 있습니다. 암호가 x로 되어 있는 이유는, 오래된 unix/linux의 경우 이부분에 패스워드가 실제로 기록되었고, 누구나 모든 사람의 패스워드를 볼 수 있었습니다. 그래서 개선된 unix/linux는 이 부분을 x로 표시하고 실제 패스워드는 해쉬값으로 만들어서 /etc/shadow라는 파일에 저장해줍니다.
* useradd 옵션들이 있음
-u : userid를 지정
-g : 그룹
-d : 홈디렉터리 지정
-s : 기본 셸 지정
* usermod - 사용자 계정에 대한 수정이 필요할 때
- useradd와 옵션이 비슷
* userdel
$ userdel redvelvet //사용자 계정이 삭제됨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유저 추가 삭제 수정 명령어 입니다.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이제 실제로 사용자를 추가해보겠습니다.
# useradd red // red 사용자를 추가합니다.
# passwd red // red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.
위 명령어를 실행하고 # cat /etc/passwd 명령어를 다시 실행하니 red라는 사용자가 새로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# cat /etc/group
위 명령어는 [그룹이름 : 비밀번호 : 그룹id : 그룹에속한 사용자]
형태의 정보를 보여줍니다. 그룹에속한 사용자 부분이 비어있는 것은 그룹에 사용자를 따로 추가하지 않아 NULL상태인 것을 의미합니다.
그리고 유저를 추가할 때 홈 디렉터리가 없으면 FTP로그인이 안되기 때문에 FTP를 사용해야한다면 home directory를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.
* Red Hat 계열(CentOS등)은 useradd로도 홈디렉터리가 만들어집니다.(useradd와 adduser가 동일하게 사용)
하지만 Debian 계열(Ubuntu 등)은 useradd는 홈디렉터리가 안만들어지기 때문에 FTP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adduser를 사용해야 만들어야합니다.
* chage
-l : 확인만 할 때
-m : 최소 의무 사용기간
-M : 최대 사용 기간
-E : Expire 날짜 지정 가능 (유통기한같은 느낌)
-W : Warning 경고일 지정 (비밀번호의 유통기간이 끝가면 알려줌)
그러면 예제를 하나 풀어보겠습니다.
문제 ) twice라는 사용자를 만들어 최소 의무 사용기간은 5일, 최대 사용기간 90일, -W은 7일 전, root 그룹에 속하도록 설정하세요.
정답
useradd twice
passwd twice (패스워드 cheerup 두번 입력)
chage -m 5 twice
chage -M 90 twice
chage -W 7 twice
usermod -g root twice
이 외에 그룹도 아래와 같은 명령어들로 관리가 가능합니다.
groups //그룹 목록 확인
groupadd girlgroup
usermod -g girlgroup twice groups twice (twice는 girlgroup에 속해있음을 확인)
groupmod //그룹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때
groupdel //그룹 삭제
gpasswd
-A : 관리자(Admin) 지정
-a : 사용자 추가(add)
-d : 사용자 제거(delete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