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[Linux] (CentOS 8) 프로세스, 데몬,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자CentOS 8 2023. 5. 31. 11:42
- 프로세스는 HDD/SSD등의 저장장치에 있던 파일이 메모리에서 실행중일 때 프로세스라 칭합니다.
- - Foreground : 전면에서 실행중 -----> 사람눈에 보이게 실행되는 것을 의미합니다.
- - Background : 후면에서 실행중 -----> 사람눈에 보이지 않게 실행되는 것을 의미합니다.
- 프로세스 번호 #ps -ef 명령어로 확인 가능합니다.
- PID : Process ID
- 실습 ) gdm이 들어간 프로세스만 조회해보자.
여기서 awk문을 추가로 사용하면 원하는$1 $2등의 원하는 부분만 추출해서 볼 수도 있다. - kill : 프로세스를 종료시켜준다.
' - pstree : 부모자식간 프로세스를 트리 모양으로 보여줍니다.
grep ibus 명령어로 ibus가 들어간 프로토콜을 조회해봤습니다. 그중 PID가 2450인 프로세스를 이용해 pstree 명령어를 실행해봤습니다. 부모자식간의 관계를 트리 모양으로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- top : 프로세스 현황을 2초마다 업데이트해줍니다. 종료를 하고 싶으면 q or ctrl + c를 해주면됩니다.
US(Usage, 사용량), ID(idle, 유휴량) ( CPU는 새로운 계산이 필요할 때만 동작함 ) - 서비스
- 데몬(Daemon)이 메모리에 상주하면서 서비스를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/
- 웹서비스, 메일서비스, 파일전송서비스 등을 해주기 위해서 메모리에 데몬이 항상 실행 중이어야합니다.
- Socket :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서 서비스를 뒷받침하는 역할을 합니다.
- Socket : IP주소(L3)와 Port번호(L4)의 조합 (서비스는 L7)
- http 서비스의 데몬은 httpd ( d = daemon )
- ftp 서비스의 데몬은 ftpd
- ssh 서비스의 데몬은 sshd // sshd가 메모리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로서 ssh서비스를 원하면 응답합니다.
- mysql 서비스의 데몬은 mysql
위 명령어로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실습) 윈도우 터미널을 열고 SSH서비스로 접속해보기
ssh 192.168.5.98 -l twice 명령어를 입력해 연결해주었습니다. who 명령어에서 tty : 터미널 --->콘솔(현장에 있음), pts : 원격접속 ---> ip주소가 보여짐 'CentOS 8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DNF를 이용해 서버를 설치해보자 (0) 2023.05.31 [Linux] (CentOS 8) 부팅에 대해서 알아보자 (0) 2023.05.31 [Linux] (CentOS 8) 파이프, 필터, 리디렉션에 대해 알아보자 (0) 2023.05.30 [Linux] (CentOS 8) 네트워크 설정을 해보자 (1) 2023.05.30 [Linux] (CentOS 8) 기본 사용법 익히기 - 6 (CRON과 AT) (0) 2023.05.30